국내 신규 환자 발생이 주춤하고 있지만 언제든 폭발적 감염이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가 여전한데요. <br /> <br />최근 자료를 보면 국민의 이동량까지 다시 증가하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우선 지난 2월 전국 인구 이동량 살펴보겠습니다. <br /> <br />인구 이동량은 거주하는 행정 지역을 벗어나서 다른 지역으로 이동한 건수를 뜻합니다. <br /> <br />2월 15일 1,587만 명에 이르던 전국 인구 이동량은 2월 18일 대구 첫 확진자 발생 이후 줄기 시작합니다. <br /> <br />대구 집단 발병으로 위기감이 높아졌기 때문인데, 2월 29일엔 1,014만 명으로 급감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대구의 신규 환자 발생 건수가 적어지면서 이동량은 다시 증가하기 시작합니다. <br /> <br />정부가 '고강도 사회적 거리 두기'를 발표한 3월 21일에는 1,325만 명을 기록했고, 고강도 거리 두기를 연장한 지난 4일에는 1,354만 명으로 꾸준한 증가세를 보였습니다. <br /> <br />실제로 지난 주말 서울 여의도에 나들이객이 몰리는가 하면 자가 격리 위반 사례가 잇따라 적발되기도 했죠. <br /> <br />상황이 심상치 않자 정세균 국무총리는 수도권에서 감염이 대규모로 퍼지면, 지금 서구 여러 나라에서 겪는 위기가 우리에게 다시 닥쳐올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. <br /> <br />사회적 거리 두기 협조가 절실해 보이는 시점입니다. <br /> <br />최기성 [choiks7@ytn.co.kr]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00407134443973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